wild rose* 2025. 4. 21. 13:14

 

아직 뉴욕 큰댁에서 생활을 할 때

큰 시아주버님 내외께서 퇴근 시

식품 재료를 사 오면

차고에서 바로 연결된 지하실 복도에 내려놓으시곤 했다.

 

시댁 지하 복도에는 세탁기와 건조대가 있었고

그 문을 열면 바로 지하실 파티룸으로 연결이 되었다.

그리고 또 하나의 도어가 있었는데

밖에서 바로 파티룸으로 들어올 수 있는 구조이었다.

 

당시 파티룸에는 10학년이던 시조카가

그곳을 침실로 사용을 하고 있었는데

내 기억으로는 그곳에 당구대가 있었지 싶은데

기억이 가물해서

그게 어떤 운동 기구인지 확실하지는 않다.

 

아무튼 밥을 지으려다 보니 쌀이 필요해서

지하에서 이층 부엌으로 옮겨야 했는데

당시 내 기운으로는 쌀 1포대가 무거웠다.

그래서 양손으로 쌀 포대 양 귀퉁이로 잡고

몇 계단 오르고 다시 몇 계단 오르고 했지 싶다.

 

그러다가 어느 날은 당시 대학 신입생이던 여 조카가

마침 집에 와 있길래

쌀 포대를 가져다 달라고 했더니

어머나! 무슨 가벼운 깃털 베개를 들듯이

너무나 가볍게 들어 올리는 것이다.

그래서 순간 참 기운도 세다라고 생각을 했다.

 

사실 그 조카와 나의 나의 차이가 7년 차이? 정도로

그렇게 크지 않았었다.

 

그 후 40년이 지난 후 난 그때 보다 나이도 훨 더 들었다.

미 이민 후 어떤 40년이 내 곁을 스쳐 지나갔는지는

나도 따로 기억을 해 봐야겠지만

비록 나이가 많이 들었다고는 해도

이제 쌀 1포대는 깃털 베개를 든 것만큼은 아니라도

쉽게 들 수가 있다.

 

울 아들이 하이라이스 콘도 25층에서 살 때

가끔씩 장을 봐주고 싶어서

식품을 사 갈 때 쌀 포대도 함께 있었다.

그때 내가 어깨에 쌀 포대를 척 메고 엘리베이터를 탔을 때 

엘베 안에서 만났던 외국인들이

뭐라 한 마디씩을 했었다.

그 내용까지는 생각이 안 나지만

자그마한 여자가 쌀포대를 어깨에 맨 것이

좀 특별해 보여서인지

시답잖은 일상 대화를 건네었던 것 같다.

 

사실 콘도가 여러 면에서 편리하고 좋은 것 같아도

장을 봐 서 가지고 올라가는 게 쉽지가 않았고

또 손님 초대할 때 주차를 아무 데나 할 수가 없어서

손님들 차는 발레파킹(valet parking)을 시키고 팁을 주던지

아니면 맨 꼭대기 차고까지 굽이굽이 올라가야 해서

많이 불편해서 아 역시 이 세상의 모든 것은

직접 경험을 해 봐야 장단점을 알 수가 있겠구나 했었다.

 

그거에 비하면 주택은 차고에서 내려

바로 도어 하나만 열면 집 안으로 통하니

평상시 미처 못 느꼈던 편리함도 새삼 느끼곤 했다.

 

콘도에 사는 이들은 무거운 짐들을 옮길 때

필요한 카트도 각 개인이 장만을 하던지

콘도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카트를 빌리던지 해야 했다.

 

또 발레파킹도 다 해 주던 콘도이었지만

울 아들은 생전 발레를 맡기지 않았다고 했다.

차몰이들이 차를 너무 함부로 다룬다면서~

 

각 콘도당 1대의 주차자리는 따라왔는데

그것은 차고 빌딩 내 실내 공용 주차장이라 

따로 벽이나 도어가 없었다.

 

차고 빌딩은 6-7층 정도이었고

각 층마다 6-7대 정도의 도어가 있는 개별 주차장도 있었다.

그렇지만 그 주차장은 콘도에 따라오는 게 아니라서

우리도 콘도 구입 후 몇 년 뒤에 3만 불을 주고

개인 주차장은 따로 구입을 해서

울 아들은 주차를 할 수 있는 자리가 두 개가 있었다.

 

그때 구입을 한 이유는 혹 결혼을 하게 되면

부부가 사용할 주차공간이

두 군데는 있어야 했기 때문이었다.

 

그런데 울 아들은 결혼하지 않았고

유럽 프라하에서 교수님을 따라가

여름학기 3개월 공부를 마치고

재판 합의 조정관 라이선스를 따온 온 아들을

아빠가 공항에서 바로 부모님 댁으로 싣고 와서

앞으로 결혼할 때까지는

부모님 댁에서 살아라 했던 것이다.

그랬던 데는 이유가 있었기에 아들도 쉽게 동의를 했다.

 

그 후 콘도는 근 5년 가까이 아들의 별채로 사용을 하다가

재산세가 년 7천 불 이상에

관리비가 기본으로 매 달 6백여 불 되었기에 팔았다.

 

그 콘도를 10년 넘게 가지고 살다가 팔고

세금, 부동산 중개인 비용 등등 이것저것 제하고 나니

우리가 콘도를 샀을 때 지불했던 그 금액이 딱 손에 떨어졌고

개인 주차장으로 지불했던 비용은

허공 속으로 사라져 버린 것이다.

 

이 콘도 작품도 울 남편의 충동구매이었다.

그래도 뭐 울 아들이 그곳에 지내면서

경영대학원을 졸업했고

법대를 졸업해서 텍사스주 변호사 자격증도 땄고

또 울 아들 20대 라이프를 맘껏 즐겼으니 되었다.